전에도 흡사한 글을 썼었는데 오늘도 또 써보겠습니다.
아스트라 프로가 클라우드웨이즈 사용자에게 무제한 사이트 첫해 무료, 다음해부터 매달 4불씩 내면 애드온으로 간편하고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스펙트라나 엘리멘터 프로, 비버 빌더와 연동할 수 있구요. 클라우드웨이즈에서 제공하는 아스트라 프로는 아스트라 자체는 프로 버전인데, 다른 부속 플러그인은 따로 사야합니다. 전 스펙트라를 무료버전으로 해서 연동해서 쓰는데 무료버전이더라도 매우 쓸만하네요. 구텐베르크 에디터에서 위젯처럼 목록에 나오게 해서 쓰는 스펙트라 위젯이 있습니다.
엘리멘터 프로보다 제 생각에는 더 디자인이 잘 먹네요. 위젯들도 규칙적으로 메뉴 구성이 되어있구요. 엘리멘터 프로보다 세팅 항목이 많지 않더라도 컨테이너도 잘 먹히구요. 제가 엘리멘터 프로 쓸때보다 더 조작감도 편한 기분이 듭니다. 스펙트라 무료 버전으로 쓰고 있고 위젯은 워드프레스 위젯도 공유해서 씁니다.
대신 기본제공 테마 종류를 더 많이 쓰려면 유료로 써야 하는데 전 필요가 없는 것 같애요. 기본제공되는 것만으로도 제작이 되구요. 아예 다 지우고 새롭게 만드는 것도 기본제공 테마를 가지고도 되네요.
대충 작업순서를 정리해둡니다.
(1) 클라우드웨이즈 로그인
(2) 애드온 목록에서 Astra Pro 활성화
(3) 어플리케이션 추가할때 목록에서 Astra Pro 선택
(4) 설치가 완료되면 워드프레스 로그인
(5) 라이선스키 입력 ( https://wpastra.com 에서 로그인하면 나옴 )
(6) 아스트라 프로 대시보드에서 스펙트라 설치
(7) 워드프레스의 페이지 메뉴로 페이지 추가
(8) 그외 블로그 모드 레이아웃도 적절히 편집
(9) 게시
기억에 의존해서 (6)을 확인해봐야 하는데 그냥 씁니다. 핵심은 모든게 다 잘 설치되어 있으면 그 기반에서 워드프레스 페이지 메뉴로 새 페이지 추가해서 위젯 추가 방식으로 작업하면 된다는 것이구요. 이렇게 페이지를 만들고 대문에 표시하도록 설정해서 쓰면 된다는 것이네요.
한가지 문제가 있던 것은 Post Grid로 랜덤하게 표시 설정을 하면 Varnish 캐시를 안껐을때 제대로 동작을 안하던데요. 제 서버에서만 그런지는 미확인입니다. PC 문제일수도 있구요. 둘다 일수도 있네요. Varnish 캐시를 끄면 방문자가 많은 서버일때 속도가 느려질 수도 있는데 하루 100인 정도 오는 사이트라면 그냥 꺼두셔도 될듯하네요.
특기할만한 사실은 REST API를 보안상 꺼둔 경우, 아스트라 프로 세부 설정 UI가 안뜨고 무한딜레이가 됩니다. 라이선스키 입력도 그렇구요. 아스트라 프로 제작사에서도 확인해준 문제로 아스트라 프로 쓰시려면 REST API를 켜두어야 합니다. 꺼두는 플러그인에 따라서는 관리자 모드에서만 켜두는 기능이 있는게 있는데 전 안통해서 그냥 켜두고 쓰네요.
여튼 이렇게 해봤구요. 더 써보고 알게 된게 있으면 공유해보겠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 쓰신다면 아스트라 프로 애드온을 써보시길 강력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