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슬러그 데이터가 변조되어 있게 되는 오류들

Posted on

보통 rewrite 설정이 완전하게 되어 있으면 워드프레스로 생성된 URL을 입력하면 잘 작동합니다. 슬러그 구조가 바뀌었거나, 고유주소 설정이 바뀌어도 대부분 잘 표시됩니다. 구글 웹마스터 도구 등에서 400 에러가 나거나 글이 안보이는 경우가 있으면 아래와 같은 것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1) 서버에서 rewrite 설정이 되어 있나?
(2) 워드프레스의 고유주소 설정을 심플하게 했나?
(3) 특수한 경우, 글 등록시 저장된 정보가 변조되었나?

(1)은 SSH 등으로 rewrite 설정을 하면 되는데요. 보통 아파치 웹서버인 경우 우분투 계열 리눅스에서는 a2enmod rewrite 명령어로 가능하구요. 많은 경우 레드햇 계열이면 디렉토리 구조와 명령어가 좀 다를 수 있습니다. 각자 찾아보시구요.
(2)는 설정 → 고유주소 설정 메뉴에서 선택 사항으로 된 카테고리 기본, 태그 기본을 설정안하고 일반 설정의 고유주소 구조를 최대한 심플하게 글 이름 으로 설정하기를 권장합니다.
(3)은 모종의 이유로 글 정보가 변조된 경우인데요. wp_posts 테이블에 저장된 글 정보 중에 ID, post_name, guid 등을 살펴봐야 합니다. ID 숫자가 guid의 ?p= 다음에 와야 하구요. post_name은 올바른 슬러그여야 합니다. 글 제목에서 특수 문자를 제외하고 빈칸은 하이픈으로 이어져 있어야 하구요. 그냥 문자열이 아니라 Web Encode 문자여야 합니다. 자세한 수정 방법은 번거로워서 생략하지만 변환기로 변환해보고 본래 제목대로 안되면 새로 생성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1)부터 (3)까지 하나라도, 또는 동시에 설정이 미비하면 400 Bad Request 오류가 나기도 하고, 결과적으로 웹마스터 도구에서 자잘한 색인 불가 오류가 발생하게 되네요.

참고가 되실 것입니다. 오류가 딱 일대일 대응이 안되고 연쇄 반응인 경우 이 글이 해당이 안될 수 있는데, 이 글에서 말한 원인과 같으면 해결 방법이 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