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ostBSD에 xrdp를 써서 원격연결이 되게 해두려는데 FreeBSD와 다른점이 있네요.
FreeBSD와 다르게 운용되는 부팅체제라, portsnap과 같은 프로그램을 쓰면 안됩니다. service 등록과정을 거치기에 GhostBSD 상태가 깨진댑니다. 그래서 pkg로도 막아두었네요. 대신
1 2 3 4 5 |
# pkg install ports # cd /usr/ports # make index |
이렇게 해두고 써야되네요.
1 2 3 4 |
# cd /usr/ports # make search name=xrdp |
이렇게 입력해서 xrdp 포트 디렉토리 알아내고 그 디렉토리 가서 make install 후 설정.
1 2 3 4 5 6 7 8 |
# vim /etc/rc.conf sshd_enable="YES" xrdp_enable="YES" xrdp_sesman_enable="YES" # /etc/rc.d/sshd start # vim /usr/local/etc/xrdp/startwm.sh |
위 startwm.sh 파일에 띄우려는 데스크탑 환경 실행 명령어를 추가하면 xrdp 연결시 작동한다네요.
설정 다하고 윈도우에서 mstsc 실행해서 FreeBSD IP로 연결시도해서 되면 되고, 안되면 xrdp 설정파일에 IP주소를 기재하면 됩니다. 라우터에서 해당 서버에 고유 사설 IP 부여하면 mstsc 실행시 일일히 IP 확인안해도 같은 IP로 연결이 됩니다.
x2go는 서버가 제공이 FreeBSD 용으로 안나와서 xrdp 설정해보고 있습니다. FreeBSD에서 성공한 사례가 있네요.
지금 생각은 이체제 하에서 라즈베리파이 피코 운용을 BSD에서도 하게 해보는 것인데 되려나요. ARM용 컴파일러 설정이 잘 되어있으면 작동할듯도 한데… 일단 동기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cmake도 FreeBSD에서 돌고 vscode는 확인을 안했는데 돌면 좋네요. 그런데 툴체인 파일에 BSD에서 제공안하는 명령어가 있으면 안될 수도 있겠군요.
공식적으로 FreeBSD도 라즈베리파이 피코 지원되는지는 확인안했습니다.
여튼 이런식으로 지금 환경 만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