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푸드점 WiFi 비연결 문제

Posted on

보통 네트워크 연결이나 WiFi 연결 문제는 타기기가 되면 안되는 기기의 문제입니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네요. (1) 패스트푸드점의 라우터나 모뎀 등의 네트워크 설정이 모종의 이유로 바뀜(2) 연결하는 장치의 설정이 바뀐 문제 (메모리 인젝션, 네트워크 관련 파일 변조)(3) 해당하는 리눅스 프로젝트의 파일이 변조 (1)의 경우 타패스트푸드점에서 안된다고 해도 간단치 않은 것은 패스트푸드점마다 문제가 …

SSH란 무엇인가?

Posted on

유닉스 운영체제에서는 원격에서 목적지 컴퓨터로 연결해서 작업을 하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주말에 집에서 직장 컴퓨터에 작업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든지 대학에서 사무실에 앉아 각 교실에 있는 컴퓨터에 연결해서 관리를 해야 한다면 원격 연결을 할 방법이 필요한 것이었죠. 이를 위해 원격에서 연결해서 쉘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지원되었는데요. rlogin 같은 명령어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방법은 …

리눅스 민트에서 Pure-FTPd 가상 유저 추가

Posted on

이렇게 해두면 pure-pw로 추가한 ftpwww 로 로그인이 되고 /var/www/html 에 chroot된 상태로 됩니다. 이 기반에서 vscode 등으로 FTP 연결을 설정하고 원격 파일 저장을 할 수 있습니다. (vscode 확장 기능마다 다른데, 설정시 pure-ftpd가 도는 서버의 IP주소와, 위에 설정한 ftpwww 유저명, 비밀번호로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WiFi로 연결된 프린터가 인식이 안되는 문제

Posted on

WiFi로 연결하는 프린터가 인식이 안된다면 아래와 같은 문제를 점검해보면 된다. (1) 프린터와 PC가 같은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는가?(2) 드라이버가 손상되거나 변조되었는가?(3) 프린터 펌웨어가 손상되거나 변조?(4) 사용자 권한 문제 이 중에서 특수한 조건 하에 있게 되는 문제로 특기하고 싶은 것은 (1)이다. 특수한 조건이란 이러하다. 모종의 이유로 라우터를 두대를 연결해서 쓰는 경우가 있다. 요즘은 모뎀과 라우터가 한 기기로 …

TPM 2.0 진도 나갔습니다 – 키 유도 함수

Posted on

교재에서 챕터 2에서 살펴본 내용 중에 키 유도 함수(key derivation function)에 대해 심화하고 있습니다. 키 유도 함수는 고정된 길이의 키에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다른 키를 유도해내는 원리입니다. TPM 2.0에서는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키들이 서로 일대일로 대응되어야 할때 칩 내부의 부족한 공간을 극복하려고 키 유도 함수를 써서 하나의 키에서 다른 키를 다수 생성하게 합니다. 키 …

워드프레스 HTTPS 연결이 안될때 확인해볼 것들

Posted on

이 글을 적용하기전에 백업해두시고 진행하세요. 부주의하게 하다보면 문제가 커질 수 있습니다. 경고드립니다. HTTPS 연결은 대부분 웹호스팅 업체의 설정패널에서 SSL을 신청하면 됩니다. 하지만 안되는 경우 (특히 되다가 안되는 경우) 아래 사항들을 점검해보세요. CPanel 기준입니다. – chrome://settings/security → Advanced → Always use secure connections 켜기 – chrome://settings/security → Manage device certificates 에서 연결하는 사이트의 인증서가 있는지 확인 …

웹사이트 관련 해킹들에 대해 1

Posted on

보안 전문가도 아니고 관련 해킹의 자세한 면모보다는 현상적으로 있는 일을 보여줌으로써 주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글을 쓴다. 가끔 웹브라우저를 실행해서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시간이 오래 걸릴 때가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현상의 원인은 랙이 생겨서 딜레이가 있는 것뿐이다. 그런데 특수한 경우 전혀 다른 것이 원인인 경우가 있다. 예컨데 구글에 들어가 검색을 의도하고 URL 입력창에 www.google.ca 를 …

해킹 근원지 판별에 대한 관찰

Posted on

난 네트워크 보안 전문가는 아닌데, 일반적인 상식이지만 그냥 생각하고 넘어가는 것을 글로 써보겠다. 보통 네트워크 접속은 많은 기록을 남긴다. 서버 로그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리퍼러 기록이나 IP등을 확인할 수 있다. 때로는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인 경우 보안 확인을 위해 어디서 어느 국가에서 접속했는지 알려준다. 이는 각 국가별로 IP 대역이 정해져 있어서 IP만 봐도 어느 국가인지 알수 있어서다.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