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오류시에 참고할만한 정보
시스템 오류는 개별적으로 보면 여러 이유가 있고, 패턴이 비슷해도 원인을 정확하게 특정하기가 애매한 주제 같기도 합니다. 우선 시스템에 남아있는 로그나 메모리 상태를 보기도 하는데, 오류가 해킹에 의한 것이라면 더욱 더 그러하네요. 이번에 불거진 SKT 해킹 사태도 늦게 대응이 되는 이유입니다. 이 경우 정말로 고약하게 고장이 나면 PC 메인보드도 날아가고 여러모로 충격이 큰데요. 이런 경우에 유발자가 …
시스템 오류는 개별적으로 보면 여러 이유가 있고, 패턴이 비슷해도 원인을 정확하게 특정하기가 애매한 주제 같기도 합니다. 우선 시스템에 남아있는 로그나 메모리 상태를 보기도 하는데, 오류가 해킹에 의한 것이라면 더욱 더 그러하네요. 이번에 불거진 SKT 해킹 사태도 늦게 대응이 되는 이유입니다. 이 경우 정말로 고약하게 고장이 나면 PC 메인보드도 날아가고 여러모로 충격이 큰데요. 이런 경우에 유발자가 …
Level shifter는 전자회로에서 나가고 오는 전압 레벨을 핀마다 조정하는 장치를 뜻합니다. 연결된 회로마다 작동하는 전압이 다르다면 level shifter 설비를 해서 조정하게 됩니다. 제일 흔한 로직 레벨은 1.8V, 3.3V, 5V이구요. 보통 회로가 3.3V로 작동한다고 하면 서로 다른 전압을 3.3V로 조정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다른 전압 입력이나 출력을 한다면요. 단방향과 양방향 level shifter가 존재하구요. 양방향은 또 여러 유형으로 …
오픈소스와 자유소프트웨어 정신은 건전한 해커 문화의 산물이고 세상을 일정 부분 발전시킨 사상입니다. 크래커와 구분되는 해커를 강조하기도 했고 기술의 발전에 독점이나 은폐보다 열린 체계를 도입해서 기여하는 측면이 크네요. 특별히 사회에 대한 연구를 하시는 분들도 오픈소스 운동의 철학적인 측면을 주목하시기도 해서, 오픈소스가 대중화되던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는 사회학 연구자분들도 관심을 가진 주제였군요. 오픈소스를 지지하는 기술자 중에 에릭 …
실재로 확인은 안해봤는데요. 오픈소스 시대가 되어 있을 수 있는 전수되는 해킹 방법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한 예로, 오픈소스에 참여한 사람의 개인정보를 탈취해서 그 사람 PC에 어떤 방법이든 접근해서 메모리 인젝션이 일어나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정상적인 URL에 웹브라우저가 접속 요청을 내리면, 내리는 순간, 메모리에 인젝션된 정보대로 그 사람이 참여하는 오픈소스 소스코드에 변경을 몰래 가하는 것이 가능한 …
사이트 방문시 사용상의 설정을 저장하는 용도로 웹브라우저에서 쿠키를 생성하게 해서 설정 사항을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술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미 아시는 것처럼, 로그인 폼에 미리 아이디를 읽어들여 표시하거나, 사이트에서 설정한 설정을 기록하는 등의 용도로 쓰이는게 쿠키인데요. 때로는 쿠키가 트랙킹 쿠키라고 해서 사용자의 사용상의 과정을 추적하는 마케팅으로도 이용되기도 해서 안티바이러스나 보안용 프로그램에서는 이를 지워주기도 하네요. 알고리즘 상으로 …
보안 프로그램도 발전을 하고 있고, 기본적으로 기술적인 피해를 입은 사용자들을 위하는 기술자들이 만든 혜택입니다. 상품이기는 하지만,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해주려고 노고를 들이는 체제입니다. 해킹이 정말로 여러 형태로 상식을 비껴가고 있고, 사이트만 방문해도 PC에 악영향을 준다는 경우도 많은데다, 상식으로 알려진 것을 의심해봐야할때 있게 되는 일들이 있는데요. 문제가 없는 사이트가 수상한 사이트로 마킹이 되어 보안 프로그램에서 표시한다든가, 문제없는 …
영어권에서 상품 홍보에 쓰이는 표현 중에 out of the box is state of art 라는 표현이 있는데요. 보통 방화벽과 같이 상세한 설정이 제공되는 경우에, 상품이 출시된 그 상태로 써도 대부분 잘 막아준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If you don’t configure it to the specific, out of the box means it does nothing on your protection” 이런 말로 …
본래부터 타인의 행동을 마음대로 제어하는 것을 실천에 옮긴다든지, 타인의 인생을 망가트리려는 실천은 있어왔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이 대중화되지도 않았던 시절이나, 인터넷에서 가능했던 기술이 발전이 더뎠던 시절에는 실천을 하는 사람들도 정보 공유가 느렸고, 기반 기술 자체가 미약한 시절이라 일부의 피해라고도 여겨지기도 했네요. 일부의 피해의 한 사례는 예를 들면 도스에서 호롱불과 같은 프로그램을 쓸때만 가능하다는 인식이었고, 이는 최근에도 VPN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