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기기에서 이어폰 소리가 한쪽에서만 나는 문제
보통 이어폰을 막 굴리면서 가지고 다니면 단선이 됩니다. 이 경우 선이 완전히 끊어진게 아니면 소리 재생시 선을 위아래로 움직여보면 양쪽에서 소리가 납니다. 이 경우 완전 단선 위험도 있는데요. PC나 다른 기기에 이어폰을 옮겨서 들어도 같으면 일단은 이어폰 문제 같지만, 최악의 경우 시스템 파일 변조나 기타 같은 효과의 원인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이어폰을 바꿔서 …
보통 이어폰을 막 굴리면서 가지고 다니면 단선이 됩니다. 이 경우 선이 완전히 끊어진게 아니면 소리 재생시 선을 위아래로 움직여보면 양쪽에서 소리가 납니다. 이 경우 완전 단선 위험도 있는데요. PC나 다른 기기에 이어폰을 옮겨서 들어도 같으면 일단은 이어폰 문제 같지만, 최악의 경우 시스템 파일 변조나 기타 같은 효과의 원인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이어폰을 바꿔서 …
모바일폰을 대부분의 경우 삼성 최상위 제품을 주로 쓰시는 것 같습니다. 제가 가입해 있는 캐나다 쿠도 모바일의 경우 갤럭시 S23 제품군은 2년 텀계약에 한달에 3만원(33불)씩 내야 하는데요. 이 비용이 부담이 되어 가성비 스마트폰을 주로 봅니다. 삼성 갤럭시 A 시리즈를 눈여겨보구요. 이들 폰에 안드로이드 메이저 버전 업그레이드도 된다고 합니다. 갤럭시 A54와 갤럭시 A14가 있는데요. 찾아보니 둘다 된다고 …
설정 → 시스템 → 언어 및 입력 → 터치키보드 → Gboard → 환경설정 →키누르기 → 키누를때 팝업 해제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 개인 정보 보호 → 개인 정보 보호 설정 → 비밀번호 표시 해제 그냥 찾다보면 안찾아져서 정리해둡니다.
https://shutterpress.info/pc/2023/02/17/%ec%95%88%eb%93%9c%eb%a1%9c%ec%9d%b4%eb%93%9c-%ec%95%b1-%ec%9a%a9%eb%9f%89-%ec%a4%84%ec%9d%b4%ea%b8%b0/ 전에 작성했던 글에서 해설하지 않은 부분을 보충합니다. 우선 플러터 작업시 프로젝트 페인에서 android → app → build.gradle 에 아래 라인을 추가합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경우) build.gradle의 android { } 블락안에 이 라인을 추가합니다. 제가 참고한 네이버 개발자의 말에 의하면 위 구문을 추가시 앱이 크래시 잘된다고 하는데 아마도 구형 기기라서 그런 것 같네요. 크래시 잘 안되는게 …
플러터로 가위바위보 게임을 만들고 있습니다. 우선 가위, 바위, 보 중에서 하나를 누르면 선택지가 입력되어 게임이 진행되는 구조인데요. 채점하는 동안 선택지를 더 못고르게 DateTime() 함수로 2초 동안 못고르게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화면이 로딩되고나서 무심코 유저들이 가위, 바위, 보를 탭하다보면 2초간 못고르게 된게 화면 로드할때부터 효력이 있어서 이것저것 누르다보면 UI에 대한 신뢰감이 저하됩니다. 그래서 화면 …
플러터로 텍스트를 목록으로 표시하고 탭하면 지정한 작동을 하도록 하는 위젯이 꽤 됩니다. 그중에서 간편하게 쓸 수 있는 것이 ListTile 입니다. ListTile은 해시맵과 같은 유형으로 읽어들인 구조적인 데이터의 구조를 입력받아 각 타일을 채워넣는 것이 자동화됩니다. 아래처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를 리스트로 만들어 저장하고 이 값을 map() 으로 받아와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Row()나 …
(1) build 함수에 위젯 주렁주렁 달기build 함수에 return 문에 위젯을 배치해서 처리하는 것이 플러터의 특징이다. UI 구성을 하다보면 위젯 개수가 많아지고 속성도 많아져서 매우 길게 늘어진다. 이렇게 되면 코드가 가독성도 없고, 무거운 앱인 경우 오버헤드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고안된 추천 사항은 children: [] 속성 설정이 가능한 위젯을 두고 달아둘 위젯을 클래스나 함수로 분리해서 배치하라는 기법이다. …
플러터의 장점은 UI 배치가 매우 쉬운 배려가 되어 있는 언어라는 점입니다. 위젯 형태로 제공되는 기본 UI 구성 요소가 많이 제공되고, 각각의 위젯 내부에 배치할 수 있는 속성에 위젯 클래스를 배치하기만 하면 UI 구성이 잘 됩니다. 이 장점으로 인해 저도 아주 훌륭한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다트와 플러터에서 제공되는 제작사가 만든 UI 위젯뿐아니라, 사용자 생태계에서 제공되는 패키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