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직 아날라이저 개념 정리

Posted on

전자기기가 작동할때 전류가 흐르고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와 해제되어 있는 상태, 전압이 강하게 가해진 상태와 약하게 가해진 상태들이 공존합니다. 라즈베리파이 피코로 개발을 할때도 이런 전류와 전압 신호가 가해지면 작동 상태가 어떠어떠할 것이라는 분석이 되는 원리가 있습니다. 우선 전류는 아날로그 신호입니다. 아날로그 신호는 자연상태의 날 것 그대로의 신호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양입니다. 그런데 이를 기기로 제어하려면 일정 …

디지털 카메라의 광학 성능과 소프트웨어적인 성능

Posted on

디지털 카메라의 기본 성능은 광학 성능과 소프트웨어적인 성능에 의해 판가름납니다. 광학 성능은 순수 하드웨어적인 성능 지표구요. 렌즈의 구경, 밝기, 분해능등의 성능과, 센서의 면적, 화소, 해상력 등의 성능이 대표적인 광학 성능입니다. 한마디로 렌즈가 크고, 밝고, 한 지점과 인접 지점의 거리가 짧아도 분리해내는 능력이 크면 좋구요. 센서에 면적이 넓어서 기본 해상도가 크고, 화소가 많아서 확대시에도 선명하다면 좋습니다. …

아주 오래된 기술이 지원에서 해제되는 이유

Posted on

전산학은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개발이 주로 이루어지는 분야입니다. 많은 경우 기술이 발전되면 성능이 개선되고 버그도 잡히는 것이 기대되죠. 때로는 버전업이 될때 오래전의 기술이 지원 해제가 되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 그 기능 자체가 없어지고 다른 기술로 대체되기도 하구요. 하위 호환성을 위해 지속되더라도 실재 제작시에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공지를 합니다. 이를 풀어서 설명하자면 이렇습니다. 보안이 문제인 경우오래된 표준으로 …

암달의 법칙, 구스타프슨의 법칙, 리틀의 법칙

Posted on

무어의 법칙이 프로세서 성능 향상의 주기를 논의했다면 단일 프로세서의 클락 속도 향상만으로는 발열 문제나 여러 다른 원인들이 겹쳐서 성능 향상이 불가능해졌다. 하나의 CPU 다이 안에 여러 개의 코어를 두고 처리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유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프로세서의 처리 속도와 타부품들의 처리 속도, 프로그램의 성능 등의 요인으로 인해 프로세서 코어를 늘린만큼 배수가 되지 않고 병목현상이 있게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성능 개선에 대한 노트

Posted on

오늘 머리가 맹맹한게 개선되어 컴공 교과서를 더 읽었습니다. 노트를 남긴 것을 올립니다. 교과서에 나온 흐름을 참고해서 제 표현도 고안해서 해놨는데 몇 대목은 요약적입니다. 컴퓨터와 전자기기의 성능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성능에 일차적으로 의존적입니다. 주변기기나 부품들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일단 중심이 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기에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성능 개선이 전체 실행 속도의 개선에 중요한 구심점이 되는 것입니다. 요즘은 제작단가도 낮아지고 있어서 일회용으로 쓰고 …

DAC와 ADC – 디지털화에 대한 이해

Posted on

현실 세계에서 존재하는 물리량들은 아날로그적입니다. 아날로그라 함은 다시 말해 날 것 그대로의 자연적인 현상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바람의 추운 정도, 열로 나타낼 수 있는 온도, 소리를 내는 음파와 같은 것입니다. 이 아날로그적인 자연 현상을 전자기기에서 의미있게 다루려면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야 합니다. 이 과정을 디지털화한다라고 설명합니다. 보통 센서라고 부르는 장비를 써서 아날로그적인 자연 현상을 전자기기에서 다룰 …

C 언어의 함수 실행과 메모리에서 있는 일들 1

Posted on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메인 메모리에서 코드 세그먼트, 데이터 세그먼트, 스택, 빈 공간, 힙 메모리로 로드된다. 함수를 실행하면 스택에서 작동이 이루어진다. 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 구조로 나중에 집어넣어진 것이 제일 먼저 빼내어지는 구조다. 이 구조가 필요한 이유는 함수 실행시 호출 순서에 따라 먼저 실행된 함수가 대기상태에 있고 나중에 실행된 함수가 먼저 실행되어야 하는 C 언어의 절차형 …

변수 원리와 메모리에서 있는 일들 3 – 값 호출, 참조 호출

Posted on

함수 호출시 매개변수로 원본을 넘겨주는 방식을 참조 호출( call by reference)라고 하고 사본을 넘겨주는 방식을 값 호출(call by value)라고 한다. C에서는 함수 호출시 매개변수로 변수를 넘기면, 그 변수 자체가 아니라 그 변수의 값이 복사되어 피호출 함수로 전달된다. 그래서 피호출 함수가 작동을 마치면, 호출을 실행한 함수의 변수는 값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 이유는 스택 프레임의 작동 방식 …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