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Category

디지털 카메라의 광학 성능과 소프트웨어적인 성능

Posted on

디지털 카메라의 기본 성능은 광학 성능과 소프트웨어적인 성능에 의해 판가름납니다. 광학 성능은 순수 하드웨어적인 성능 지표구요. 렌즈의 구경, 밝기, 분해능등의 성능과, 센서의 면적, 화소, 해상력 등의 성능이 대표적인 광학 성능입니다. 한마디로 렌즈가 크고, 밝고, 한 지점과 인접 지점의 거리가 짧아도 분리해내는 능력이 크면 좋구요. 센서에 면적이 넓어서 기본 해상도가 크고, 화소가 많아서 확대시에도 선명하다면 좋습니다. …

AI의 음성받아쓰기의 기능이 오작동하는 한 원인

Posted on

이경우에는 어느 코드가 문제인지는 미확인이더라도 어떤 말뭉치 체계를 택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출력결과 같은 생각도 듭니다. 문법적으로 지향적인 말뭉치 체계를 따르면, 재생하는 영상에 나온 말과 분위기를 완전히 안따르고 자막을 보여주듯이 되기도 하네요. 이 경우에도 개발자들도 아는 결과지만, 서비스 사용자나 비지니스의 측면에서 복잡한 문제가 겹치면 개발자들도 불만을 가지기도 하네요. 이를 알아주는 것이 저의 기본 관점인데, 이경우에는 개발자가 …

시스템 오류시 확인해볼만한 것들

Posted on

컴퓨터를 활용선에서 쓸때도 그렇고, 개발하려고 쓸때도 오류가 종종 발생합니다. 아주 고약하지는 않다면 마음의 평정을 가지고 해결하려고 하다보면 해결이 됩니다. STM32 개발처럼 IDE와 도구 상에서 체크해야 할 옵션이 많고 코드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UI가 제작사에서 정책적으로 바꾸는 경우에는 사용법이나 활용법, 구현하려는 프로젝트의 원리를 잘 숙고하면 해결이 되는데요. 시스템 오류가 해킹으로 있는 현상이라면 정말 고약하게 작동이 오작동이 되기도 …

[RPI-PICO] picotool 재컴파일

Posted on

라즈베리파이 피코에서 picotool이 컴파일할때 필요합니다. CMake Warning (dev) at filename (message):[cmake] Calling FetchContent_Populate(picotool) is deprecated 이 메시지가 뜨고 프로젝트에 따라서는 어떤 일인지 CMake 작업도중 인터넷에서 받아와서 컴파일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네요. 안티바이러스로 인한 것처럼 보이게 딜레이가 있는 것도 겹치지만 일단 picotool을 재컴파일 하는게 필요합니다. 우선 윈도우에서 하려면요. MSYS2를 활용해서 유닉스 같은 컴파일 환경을 조성합니다. https://www.msys2.org 에 …

[RPI-PICO] UART 신호를 USB로 보내서 시리얼 모니터로 출력 메시지 확인하기

Posted on

라즈베리파이 피코를 쓰다보면 UART 신호를 USB로 보내서 시리얼 모니터로 출력 메시지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간편하게 하려면 UART to USB (아마존에서는 보통 USB to TTL로 검색이 되네요) 모듈을 구해서 써야 합니다. 라즈베리파이 피코에서 제공하는 uart0의 GP0과 GP1에 연결해서 쓰거나 uart1의 GP16, GP17에 연결해서 설정을 잘 해두면 외부 터미널 프로그램을 PC에서 실행해서 출력 메시지 확인이 …

[RPI-PICO] 라즈베리파이 피코를 호스트로 해서 USB MSC 모드 작동을 시켜볼때 필요한 이해 정리

Posted on

우선 하드웨어 구성을 단순화해보면요. 이런 구성이구요. 성공의 관건은 라즈베리파이 피코에 붙어 있는 USB 단자에 USB 메모리를 연결하면 작동하느냐입니다. 전원 공급을 받는 단자이기도 하고, PC와 통신하는 단자이기도 한데요. PC와 통신은 BOOTSEL 모드로 작동시키듯이 내장 플래시에 데이터를 주고받는게 되니, 이를 활용해서 USB 메모리를 달아보려고 하는데요. USB MSC (USB Mass Storage Class) 모드로 설정해서 해보려고 하네요. 하드웨어적인 지원이 …



1 2 3 4 5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