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ronix Test Suite으로 벤치마킹하기

Posted on

리눅스에서 벤치마크를 할때 여러 프로그램으로 가능합니다. Phoronix Test Suite도 그중의 하나인데요. 이 프로그램을 쓰면 제공되는 여러 테스트들을 활용해서 Processor, System, Network, Disk, OS 등의 카테고리의 벤치마크를 할 수 있습니다. 의존성으로 php-cli, php-xml, php-gd 를 설치하라고 되어있네요. 대충 이명령어로 설치하시구요. Phoronix Test Suite은 우선 https://github.com/phoronix-test-suite/phoronix-test-suite/releases 에서 릴리즈 파일을 받아서 설치하면 되구요. 리눅스 민트 계열은 deb 파일을 …

디렉토리 개념에 대하여

Posted on

IT적인 개념을 알려면 다음 사항들을 잘 알아두는게 중요합니다. (1) 개념의 발생적인 측면. 이 개념이 왜 고안되었는지.(2) 개념의 실용적인 측면. 이 개념을 접했을 때 즉각적으로 떠올려봐야 되는 것이 무엇인지. 이 두가지를 기본적인 것부터 고급적인 것까지 항상 주시하면서 보강해가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1)과 (2)를 핵심적으로 알아두고 지식 확장을 이루어나가면 숙지가 될 것입니다. 디렉토리의 경우 어떠할까요? 발생적인 것과 실용적인 …

webmin으로 리눅스 서버 설정 간편하게 하기

Posted on

webmin은 웹기반 리눅스 서버 설정 관리자로 매우 편리한 설정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물론 설정 사항들에 대한 지식이나 설정값을 선택하고 입력하는 지식은 이미 있어야 하지만요. 서버 설정 경험이 일정 정도 있고 서버에 대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에게 직접 명령어 타이핑을 고안할 필요없이 매우 광범위한 설정을 UI로 돕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데비안, 우분투 계열 리눅스와 레드햇 기반 리눅스를 모두 …

쿠분투 20.04에서 크로미움 설치가 error status 10 내뿜고 중단될 때

Posted on

쿠분투에서 muon 으로 chromium-browser를 설치할 때 모종의 이유로 도중에 멈추면 설정과 파일들이 엉켜서 설치를 재시도할때마다 error status 10 내고 중단됩니다. 이를 muon 패널에서 해결하는게 불가능해 보이구요. 명령어로 처리하면 muon에서 다시 설치 시도를 할 때 성공하게 할 수 있습니다.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Konsole 에서 이렇게 하면 엉킨 파일들이 제거되고 패키지도 삭제되서 muon으로 다시 재설치가 가능해지는 것 같습니다. …

쿠분투 20.04에서 NetBeans로 JSP 작성시 Tomcat 9 등록법

Posted on

https://shutterpress.site/%ec%bf%a0%eb%b6%84%ed%88%ac-20-04-%ec%97%90%ec%84%9c-%ed%86%b0%ec%ba%a3-%ec%84%a4%ec%b9%98-%ed%9b%84-%ec%8b%a4%ed%96%89/ 쿠분투 20.04에서 Tomcat 9은 Muon으로 설치해서 잘 작동한다는 전제 하에 설명합니다. Muon으로 설치하면 Tomcat 9의 CATALINA_HOME 은 /usr/share/tomcat9이고 CATALINA_BASE는 /var/lib/tomcat9 입니다. 우선 NetBeans를 실행해서 Tomcat 9을 등록해주어야 JSP 프로그래밍 프로젝트를 만들수 있습니다. 등록하려면, Tools→Servers 로 가서 Tomcat 9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Catalina Home 은 /usr/share/tomcat9으로Catalina Base 는 /var/lib/tomcat9 으로Use Private Configuration Folder (Catalina Base) …

쿠분투 20.04 에서 톰캣 9 Virtual Host Manager와 Web Application Manager 설정하기

Posted on

톰캣 9는 몇가지 설정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관리 툴을 지원합니다. 일단 설치가 되어있다는 전제 하에 해설합니다. 우선 톰캣 9이 잘 실행되어 있다면 기본값으로 했을 때 http://localhost:8080 을 실행하면 문서가 뜨는데 거기에 링크를 누르면Virtual Host Manager와 Web Application Manager 페이지가 뜹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유저네임과 패스워드가 지정되어 있어야 접근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01 에러 납니다. 이 …

쿠분투 20.04 에서 톰캣 설치 후 실행

Posted on

우선 타볼이나 집파일을 직접 받아와서 설치하기보다 Muon으로 설치한 이후를 설명합니다. 설치하고나서 시스템 재부팅후 아래 명령어를 쳐봅니다. 9월 15 12:44:55 pizza-hot tomcat9[1325]: No JDK or JRE found – Please set the JAVA_HOME variable or install the default-jdk package 라고 나오면 을 쳐봐도 실행이 안된 상태로 나옵니다. 이 경우 JAVA_HOME 환경변수를 설정해야 하는데 .bashrc나 /etc/environment 같은 파일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