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설정이 저장되는 방식

Posted on

윈도우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모든 프로그램은 설정 사항을 고를 수 있는 경우 이 설정 사항이 저장되는 고유의 방식이 있습니다. 크게 세가지 방식이 특정되는데요. (1) 램에 저장됨(2) 특정 디렉토리에 저장됨(3) 레지스트리에 저장됨 이 세가지 방식을 잘 이해한다면 문제가 있게 될때 프로그램을 삭제하고 재설치할때 요령을 더 잘 살펴볼 수 있게 됩니다. 보통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1), (2), (3)에 …

Phoronix Test Suite으로 벤치마킹하기

Posted on

리눅스에서 벤치마크를 할때 여러 프로그램으로 가능합니다. Phoronix Test Suite도 그중의 하나인데요. 이 프로그램을 쓰면 제공되는 여러 테스트들을 활용해서 Processor, System, Network, Disk, OS 등의 카테고리의 벤치마크를 할 수 있습니다. 의존성으로 php-cli, php-xml, php-gd 를 설치하라고 되어있네요. 대충 이명령어로 설치하시구요. Phoronix Test Suite은 우선 https://github.com/phoronix-test-suite/phoronix-test-suite/releases 에서 릴리즈 파일을 받아서 설치하면 되구요. 리눅스 민트 계열은 deb 파일을 …

디렉토리 개념에 대하여

Posted on

IT적인 개념을 알려면 다음 사항들을 잘 알아두는게 중요합니다. (1) 개념의 발생적인 측면. 이 개념이 왜 고안되었는지.(2) 개념의 실용적인 측면. 이 개념을 접했을 때 즉각적으로 떠올려봐야 되는 것이 무엇인지. 이 두가지를 기본적인 것부터 고급적인 것까지 항상 주시하면서 보강해가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1)과 (2)를 핵심적으로 알아두고 지식 확장을 이루어나가면 숙지가 될 것입니다. 디렉토리의 경우 어떠할까요? 발생적인 것과 실용적인 …

SSH란 무엇인가?

Posted on

유닉스 운영체제에서는 원격에서 목적지 컴퓨터로 연결해서 작업을 하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주말에 집에서 직장 컴퓨터에 작업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든지 대학에서 사무실에 앉아 각 교실에 있는 컴퓨터에 연결해서 관리를 해야 한다면 원격 연결을 할 방법이 필요한 것이었죠. 이를 위해 원격에서 연결해서 쉘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지원되었는데요. rlogin 같은 명령어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방법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