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패턴을 잘 기억하는 한 방법

Posted on

흔히 이공계통은 외어서 한다고 하기도 합니다. 이 말들이 옳은 부분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런 조건에 빠지지 않게 잘 받아들이십니다. 제가 이 말을 하는 이유는 이러한 이해가 갖는 추천되는 마인드가 아니면, 공부하는 방법을 저해하기도 해서네요. 대부분의 기술자분들은 긍정적인 마인드로 업무에 임하셔야 해서 한 문제에 대해 심도있게 사유하시니 공부법에 대한 다른 이해를 잘 안하십니다. 보통은 문제가 없는데, …

시스템 오류시 확인해볼만한 것들

Posted on

컴퓨터를 활용선에서 쓸때도 그렇고, 개발하려고 쓸때도 오류가 종종 발생합니다. 아주 고약하지는 않다면 마음의 평정을 가지고 해결하려고 하다보면 해결이 됩니다. STM32 개발처럼 IDE와 도구 상에서 체크해야 할 옵션이 많고 코드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UI가 제작사에서 정책적으로 바꾸는 경우에는 사용법이나 활용법, 구현하려는 프로젝트의 원리를 잘 숙고하면 해결이 되는데요. 시스템 오류가 해킹으로 있는 현상이라면 정말 고약하게 작동이 오작동이 되기도 …

IT 기술을 배울때 채택하면 좋은 방법 – 연역과 귀납의 경험적 운용

Posted on

IT 기술은 그 역사의 흐름과 기술 발전의 흐름에 맞추어 오래전의 기술도 배워야 하고 이후에 바뀐 기술도 배워야 합니다. 이는 기술 이해가 체계적이라 기존의 기술도 알아두면 이후의 기술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기 때문이구요. 기술을 실재 상황에 적용할때 기지를 더 발현하기가 좋게 되서네요. 흔히들 일상언어로 말할때 “다 안다고 자만하지 말고 겸손하게 임해”라는 말도 흡사한 전제인데요. 기초를 배웠을때 다 …

코드 암기시 그냥 외어야 할 것과 서술적으로 외어야 할 것의 차이에 대한 해설

Posted on

워드프레스도 테마 제작을 할때나 플러그인 제작을 할때, 워드프레스 코어를 바꿔야 할때 PHP나 자바스크립트, JSON 등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이 경우에 대면하면 비전공이신 경우 기호적인 것을 접하면 압도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압도되지 마시고 임하시면 되는데요. 보통 암기한다고 하는 기능을 잘 분별하는게 노하우인데, 많은 경우 기술자분들이 이를 잘 짚어주실 것 같아도 글의 구심점이나 여러 조건에 의해 잘 설명이 …

컴퓨터 개념잡기에 대한 상념

Posted on

컴퓨터는 활용적인 지식이 있고 이론적인 지식이 있습니다. 전자는 후자에 비해 직관적이고 실천적이라 잘 이해하는 것은 쉬운 편이고 행동으로 옮길 수만 있으면 배울 수 있구요. 후자는 조금 도전적입니다. 누구나 맞춤설명을 들으면 할 수 있는 도전적인 유형이지만 때로는 어려움에 봉착합니다. 이유를 들어보면요. (1) 누구나 익숙한 언어도 수능 레벨까지 되면 어려워지듯이 이론적이라서 그렇습니다. 정확하게 뉘앙스 구별도 해야 하고 …

프로그래밍 기초 – 코드 이해 진입에 난국이 있다면 참고해보세요

Posted on

보통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소스코드를 만들고 실행하게 처리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소스코드가 중요한 개념인데요. 프로그램의 설계도면이라고 비유할 수 있는 일련의 텍스트 파일을 의미합니다. 소스코드에는 프로그램 실행에 관여하는 코드가 기재되어 있구요.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컴파일을 거치거나, 인터프리터가 해석해서 실행이 됩니다. 즉 프로그래밍을 잘 하려면 소스코드를 이해하고 응용하는 능력이 전제가 되죠. 프로그래밍 언어는 한국어나 …

컴퓨터 프로그램 작성시 안될 경우 점검해볼만한 사항들

Posted on

요즘은 20년전과 다르게 비전공자분들에게도 프로그래밍을 가르치는 체제가 잘 자리잡혀 있습니다. 엑셀에서 VBA를 쓴다든지, 오래전에 어도비 플래시에서도 프로그래밍 개념이 있었던 것처럼, 필요가 있으면 전산학 이외의 분야에서도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고 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네요. 20년전의 제로보드 시절이나 지금의 워드프레스 시절이나 프로그래밍에 대한 수요가 늘었습니다. 물론 기본적인 것도 잘 못하는 경우의 수요자가 지닌 의도가 다른 무엇을 위한 …

표현의 의미를 너무 정확하게 안보고 반대로 너무 엉뚱하게 안보는 중용에 대한 생각

Posted on

개념을 잡으려면 표현을 정확하게 보고 포괄적인 표현으로 입론해두는게 과학적으로 추천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때로는 여러 조건이 겹쳐서 글 표현을 너무 정확하게 보다보면 판단에 무리가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과학은 정확해야 한다는 조건의 구심점이 언어 이해에 겹치는 조건에서 있게 되는 현상인데요. 일반화된 공통감을 위해 개념어에 하나의 원리를 사상시켜야 하는 것을 너무 철저하게 지키다보면 글의 표현에 갇히게 되어 …

1 2